-
금융사기 및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슬기로운 금융생활 2025. 2. 18. 08:00
금융사기 및 보이스피싱을 당하지 않으려면 늘 조심해야 합니다. 최근 금융사기(보이스피싱, 스미싱, 피싱 등)의 수법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어,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보이스피싱 (Voice Phishing)
전화로 금융정보를 빼내거나 돈을 요구하는 사기
(주요 수법)
정부기관 사칭 →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직원이라고 속이고 범죄 연루 혐의가 있다고 협박
대출 빙자 →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며 기존 대출금을 먼저 갚으라고 요구
가족 납치·협박 → 가족이 납치되었다며 돈을 송금하라고 협박
(예방 방법)
모르는 번호로 온 전화는 받지 않기
정부기관은 절대 전화로 개인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음
돈을 송금하라고 하면 100% 사기!
가족이 납치되었다는 전화가 오면 직접 가족에게 확인
2. 스미싱 (Smishing)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금융사기
(주요 수법)
택배 사칭 → "택배 배송 확인"이라는 문자에 악성 앱 설치 링크 포함
이벤트 당첨 사칭 → "경품에 당첨되셨습니다!"라는 문자 클릭 유도
공공기관 사칭 → 코로나19 지원금, 건강보험 환급금 안내 문자
(예방 방법)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속 링크 절대 클릭 금지
스마트폰 보안 설정 강화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 차단)
백신 프로그램 설치 후 정기 검사 실행
문자 속 전화번호로 직접 연락하지 않기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3. 피싱 (Phishing)
이메일이나 가짜 웹사이트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사기
(주요 수법)
은행/카드사 사칭 → "비밀번호가 만료되었습니다"라며 가짜 웹사이트 접속 유도
쇼핑몰 사칭 → 결제 오류라며 로그인 정보 입력 유도
기업 이메일 해킹 (BEC) → 회사 직원을 사칭하여 거래처에 송금 요구
(예방 방법)
공식 웹사이트 주소 직접 입력 후 로그인
의심스러운 이메일의 첨부파일, 링크 절대 클릭 금지
금융기관이 이메일로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음
이메일 발신자를 꼼꼼히 확인 (도메인이 이상한 경우 조심!)
4. 메신저 피싱
카카오톡·SNS를 이용해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는 사기
(주요 수법)
"엄마, 나야. 급하게 돈이 필요해"라며 가족을 사칭
"핸드폰 고장났어. 이 계좌로 돈 좀 보내줘"
(예방 방법)
돈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반드시 직접 전화로 확인
지인이 급히 송금을 요구하면 먼저 의심하기
카카오톡 2단계 인증 설정하여 계정 도용 방지
5. 대출사기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돈을 가로채는 수법
(주요 수법)
선입금 요구 → "대출 실행을 위해 먼저 보증금을 보내라"
개인정보 요구 → "대출 심사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OTP번호 제공하라"
정부지원 대출 사칭 → "서민지원 대출이 가능하다"며 유도
(예방 방법)
정식 등록된 금융회사인지 금융감독원 사이트에서 확인
어떤 이유로든 선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
대출 상담은 반드시 직접 은행 방문하여 진행
6.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10가지 안전 수칙
1) 모르는 번호로 온 전화는 받지 않거나 짧게 끊기
2) 공공기관(경찰, 검찰, 금융감독원)은 절대 전화로 돈을 요구하지 않음
3) 대출 실행 전에 보증료·수수료 송금 요구하면 100% 사기
4) 은행·카드사는 절대 비밀번호나 OTP 번호를 요구하지 않음
5) 문자 메시지 속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직접 홈페이지 방문하기
6) 카카오톡, SNS에서 돈을 요구하면 반드시 직접 전화로 확인하기
7) PC와 스마트폰에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주기적 업데이트
8) 현금으로 송금하라는 요구를 받으면 100% 의심하기
9)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즉시 금융감독원(1332) 신고
10) 은행 계좌와 전화번호는 금융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에 등록 (금융감독원 제공)
7. 금융사기 발생 시 대처 방법
1)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면?
즉시 112(경찰) 및 금융회사에 신고하여 계좌 지급정지 요청
금융감독원(1332)에 피해 신고 후 상담 요청
사기범이 사용한 번호는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
2) 스미싱·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스마트폰 악성 앱 삭제 및 보안 설정 강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면 금융회사에 계좌 비밀번호 변경 요청
3) 대출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해당 금융사가 정식 등록된 업체인지 금융감독원 사이트에서 확인
이미 돈을 보냈다면 즉시 경찰 및 금융감독원에 신고 후 지급정지 요청
'슬기로운 금융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문맹이라고 아시나요? (1) 2025.02.19 재테크 & 투자에 도움이 되는 도서를 소개해드릴게요. (3) 2025.02.19 현금 vs 체크카드 vs 신용카드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1) 2025.02.17 사회 초년생들이 신용불량자가 되는 사례 (0) 2025.02.17 사회 초년생 신용카드 잘 사용하는 방법 알아보기 (0) 2025.02.16